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투자는 이런 시기에 하는거다.(현시점 수익률 공개)

by 추부의 금융로그 2023. 5. 15.

안녕하세요? 따로또같이 블로그입니다.

 

오랜만에 또 포스팅을 해봅니다. 다른 유튜브 계정을 파서 운영하다가 단순 반복 노동만 반복되는거 같고 자기발전이 없는거 같아서 다시 저랑 맞는 경제블로그로 돌아와서 다시한번 달려볼까 합니다. 

오늘은 "투자는 이런 시기에 해라" 라는 주제를 가지고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론

여러분들도 다들 알고 계시다 싶이, 코로나19때 엄청난 양적 완화 정책으로 인해 경기가 비 정상적인 호황을 누렸었죠.

코로나19로 인해 발생된 엄청난 양의 통화량

위의 차트를 보면 2020년 코로나19 발생 후 엄청나게 늘어난 통화량 때문에 엄청난 호황이였었죠. 

다들 초등학교때 배웠던(?) 배웠던적이 있었을 '경기의 순환과정'을 보면서 현재 우리는 어느시점에 서 있고, 지금이 과연 투자하기 좋은 시기인지를 판단해보고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2020년 4월부터 시작된 연준의 양적완화가 위 그래프에서 확장기쪽을 의미했죠. 그리고 나서 약 1년 8개월이 지나고 발표한 연준의 테이퍼링 소식과 함께 주식시장은 후퇴기로 접어 들었습니다.

경기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지만, 계속해서 오를수는 없고 이러한 사이클을 거치면서 상승하게 되어있습니다만,

연준의 테이퍼링 소식

시장의 혼란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정부(연준)의 정책에 따라서 주식시장(market)은 단기적으로는 몰라도, 어느정도 장기적으로는 연준의 방향대로 흘러가는것을 이번 코로나19의 통화정책을 보며 뼈저리게 느낄수 있었습니다.

테이퍼링 시작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나스닥 고점

주식시장의 명언이 하나 있죠? '연준에 맞서지 마라' 라는 말을 다시한번 여러분들과 저 모두 명심해야할 필요가 있을꺼 같습니다.

본론

그래서 우리는 지금 과연 어느시점에 있고, 지금 시기가 투자하기 좋은 시점인지를 알아보시죠.

서론에 첨부했던 경기사이클과 위에 보이는 경기 사이클별 선호업종 변화를 살펴보시죠.

일반적으로는 경기 사이클 보다 증시는 후행하기 때문에 그점은 유의하면서 보면, 증시가 바닥을 찍고 올라갔을때 비로서 경기사이클은 바닥을 찍고 상승하게 되는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증시 바닥에서 보이는 경기소비재들의 주가 현황을 한번 살펴보면 실제로 저 사이클처럼 움직이는지 알아보면서 비교분석을 해보도록 하자.

 

우선 경기소비재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면, 경기 상황에 따라서 소비 정도에 영향을 받는 섹터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자동차, 가전, 인테리어, 호텔, 레저 등이 있죠.

쉽게 얘기하면 돈 있으면 사고 돈 없으면 굳이 사지 않는 형태의 업종을 말하죠

(2020년, 2021년 새차 사기가 어려워지고 중고차 가격이 미친듯이 올랐던것을 생각해보면 대충 이해가 되실겁니다.)

(마찬가지로 인테리어도 돈이 있을때야 하는거지, 돈이 없으면 굳이 인테리어를 하지 않겠죠?)

그래서 네이버에서 경기소비재 ETF를 한번 찾아보니 위와 같은 차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아래 차트를 보겠습니다.

실제로 경기 사이클과 증기 저점의 경기소비재 형태가 비슷하지 않나요? 

 

다음은 경기소비재에 맞는 대표적인 주식 4개의 차트를 보면서 실제로 우리가 위치한 곳이 어디쯤인지를 한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 나이키, 아마존, 홈디포 모두 비슷한 형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년 말에서 2023년 초에는 최저점을 찍고 고개를 살짝 쳐든 모습을 똑같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증시 사이클과 비교를 해봤을때, 경기소비재가 바닥을 찍고 상승을 시작했을때가 바로 경기 사이클의 바닥이라고 볼 수 있는거죠.

결론

경기사이클과 증시사이클을 비교해보고, 실제로 경기소비재에 있는 주식들의 현황을 살펴보니 제가 생각했을때 지금이 경기사이클의 바닥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준의 가파른 금리인상도 이제는 더이상 하지 않을것이라 추측되고 있구요, 

실제로 여러 경제 데이터 및 수치를 주도면밀하게 살펴보고 있는 연준이지만,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인것이죠. 

그렇다면, 금리 인하기 + AI시장의 급성장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생산성 증가 + 경기사이클의 호황국면으로의 진입 + 미국의 강력한 노동시장 등을 고려해봤을때 조만간 다시한번 호황의 장이 오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2023. 5. 15.(월) 기준 내 계좌 현황

다들 너무 조급해 하지 마시고, 긴 호흡으로 건강한 투자 해서 다들 부자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